플레이광주 > 웹진 『플광24』 > [김경수의 광주 최초를 찾아라] 광주최초 성터마을, 왕이 내려준 마을명 충효동

웹진 『플광24』


[김경수의 광주 최초를 찾아라] 광주최초 성터마을, 왕이 내려준 마을명 충효동

김경수| |댓글 1 | 조회수 592


만추(晩秋)다. 광주땅 동쪽 끝자락 충효동에도 낙엽이 구른다. 충효동은 무등산 원효계곡 아래 위치한다. 창계 금다리 건너 담양 지곡리와 시가문화권 한 통이다.


중심동네 성안(城內)은 용두산(109m)에 기대고 있다. 실제 이 봉우리가 겨울 북하늬바람을 갈무리 해주는 배산이 되고, 여름 시원한 기운을 드리우는 역할을 하고 있다. 둘레 1㎞쯤 반월형 토성 흔적과 성돌이 마을과 학교 주위에 남아있다. 광주최초 성터마을로 여겨진다.


자미탄은 화석지명 평무들, 옥(獄)배미와 함께 성(城)촌 기를 더하여 옛날 관청 터, 개연성이 높다. 계곡수 수전(水田)벌 바탕에 조선 초 서창에 거주했고, 병조판서를 지낸 김한로의 후손들이 들어와 살면서 광산김씨 동족마을이 됐다. 윗동네 동·서림은 분청사기 제작소였다.


임진왜·정유재란 때 김덕령(1567~1596)은 형 덕홍에 이어 의병에 참전하여 목숨을 잃는다. 흥양이씨 처까지 추월산에서 희생된다. 1788년 정조는 충장(忠壯) 시호를 내려 억울한 의병장 주검누명을 벗겨준다. 이듬해 촌명 충효(忠孝)도 사명(賜名)한다.


광주최초 왕명 땅이름 증거는 415번지 충장공 탯자리와 440번지 충효리정려비[前面/朝鮮國贈左贊成忠壯公金德齡贈貞敬夫人興陽李氏忠孝之里]에 새겨져 있다. 1947년 광주시내 한복판에 충장로1~5가동, 법정동 명칭도 등장한다.


석곡동행정센터 10월 말 현재 주민등록상 법정동 충효동 호구는 155세대 259인이다. 세분하면 1통 수리(개머리·술리)석저일부 45호 64인, 2통 충효(성안·환벽·북촌) 52호 86인, 3통 평촌(담안·동림·버성골·닭뫼) 58호 109인이다.

2023년 말 북구통계연보에서 충효동 총면적은 102만2천평 정도이다. 지목분류로는 임야 44만3천평, 논 23만7천평(1천187두락), 밭 12만4천평(620두락), 유지 12만9천평, 대지 2만9천평, 도로 2만6천평, 학교용지 4천2백평이다.


북구청 토지정보과 2025년 초 공시지가자료는 총 필지 수 1천715필지, 총액 907억3천700만원, 최고지가 888-3번지 수리마을 도로변 대지 ㎡당 37만1천200원이다. 부동산어플 2021~2023년 실거래가는 평당 대지 45~188만원, 답 10~58만원, 전 49~149만원이다.


< 증암강 유역도, 성터 지적도와 사진, 1910년대 지형도, 성촌기록 호구총수 >


1915년 지적자료에는 1천1필지가 밭(田)270, 논(畓)578, 집터(垈)113, 못(池)1, 임(林)29필지로 나눠 있다. 대지 113호 합 면적은 2만427평이며, 평균 180.7평이다. 성씨별 필지수는 김53, 정鄭28丁2, 최9, 오3, 문·박·이·전·조趙 각2, 고·장·조曺·진 각1이다. 840·841·845번지 548·232·159평은 경기도 양주접동 봉선사(奉先寺), 159번지 88평은 서문통 안등(安藤熊太郞)터다. 


면적이 큰 필지(지번·지목·평·소유자)를 나열하면 831임1만272國정경원(1974연천리380정운의), 808임6천928양택종(수북풍수리787), 393임6천784정운오(지곡리229태면), 936답5천90정낙교, 925답3천589지응현, 305답3천471정낙교, 325답2천886임병룡이다.


1921년 사정(査定) 임야대장에는 산19번지32정8천500보 정구택·경섭(금곡리840,351), 산22번지32정8천300보 정해민(광주부동정38형모,1927지창선), 산21번지11정1천800보 정운영외4인 (지곡126번지), 산41번지9정600보 김서현, 산38번지8정1천300보 고재걸·정운천이다.


2022년 옥배미 위치제보는 355번지(오광열85세), 576번지(이은석64세)이다. 수리시설로는 평촌도예공방어귀 올챙이보, 담안입구 평촌교 땅(딱)보, 1944년생 충효저수지(799번지722평·800번지998평·801번지1천928평)가 있다. 425-2번지는 옛 충효동사무소, 그 옆이 도개집터다. 가마우지바위(鸕鶿巖)는 광주호에 수장됐고, 489번지 샘터는 구실을 그쳤다.


< 충효리정려비와 비각, 김덕령 집터 사진(향토지리연구소 2005 광주땅이야기) >


주요터는 909-8·911번지 천연기념물 왕버들3그루(一松一梅五柳·裨補林), 485번지 시보호수 당산(느티)나무, 225-1번지 홍정자, 354번지 진정자, 805-3번지 무등산국립공원 생태탐방원, 2006년 개원 광주호수생태원(4만2천700평)·안내센터·주차장, 387번지 환벽당, 396번지 취가정, 529-2번지 광주동초등학교 충효분교(1946년개교), 417-2번지 마을이야기박물관, 889-2번지 농협하나로마트, 890번지 로컬푸드, 시내버스187·188번 정류장이다.

 

원효사상가 이주단지인 53호생태문화마을조성 공사로 어수선하다. 882번지 일원 4만3천여평에 2026년 말 광주최초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동아시아 플랫폼과 힐링숙박촌이 선단다.






1 댓글
조규춘 11.14 11:21  
까막눈 길 절름발 길 겉핥기로만 한 빛고을이었는데 자랑스럽습니다.


카카오톡 채널 채팅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