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삐따기칼럼] 캄보디아 여행 자제만이 최우선일까?
| 삐따기 칼럼이란? 모두가 YES 라고 말할 때 NO 라고 말하는 ‘삐딱한 기자들의 시선’을 담은 칼럼입니다. 기자라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습니다. 글은 팩트에 근거하여야 하고 과도한 정치적 편향은 자제합니다. |
지난 7월 캄보디아로 들어간 한국인 대학생이 2주 만에 범죄 조직에 감금된 후 사망한 사건으로 국내가 발칵 뒤집혔다.
후에 단순 사망사건이 아니라 고문에 의한 심장마비라는 사망원인이 보도되자 대한민국이 자국민에 대해 안전조치를 하지 않은 것에 대한 우려도 쏟아져 나왔다.
< 10월 10일 캄보디아 프놈펜 지역에 대해 '특별여행주의보' 발령 외교부 제공 >
시간이 흐르면서 국내 여론은 급기야 범죄 조직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아닌 캄보디아 국가의 치안 부재를 내세워 보도하기 시작했고, 정부는 수도 프놈펜을 포함 11개 지역에 특별여행주의보까지 내렸다.
우리나라 외교부 단계별 여행경보로는 1단계 여행유의, 2단계 여행자제, 3단계 출국 권고, 4단계 여행금지로 나뉜다. 특별여행주의보는 단기적으로 긴급한 위험이 있는 경우 내리는 주의보로 여행경보 2단계 이상 3단계 이하에 준한다.
참고로 특별 여행 주의보에 있는 나라는 중국 티베트 및 신장위구르자치구 지역과 에콰도르, 엘살바도르 등이 속한다.
국내 언론사의 캄보디아 관련 기사만 보면 불특정 한국인을 겨냥한 범죄로 보이게 만든다. 마치 캄보디아에 단순 여행을 하는 것만으로 납치의 표적이 될 것 같은 느낌도 든다. 이는 그대로 캄보디아 여행 취소로 이어지는 결과를 낳았다.
하지만, 과연 그럴까?
냉정하게 캄보디아 사태를 들여다보면 여기에는 SNS를 통한 고수익 미끼 취직을 앞세운 범죄 조직의 치밀한 수법과 한국에서는 더 이상 고수익 직장 취업이 어려운 20대 청춘들의 선택이 있다는 것을 망각하면 안 된다.
그러다보니 한국 정부가 캄보디아 불법단체에 있는 자국민들에 대한 귀국을 권유해도 상당수 청년들은 이를 거부하는 아이러니한 상황도 연출되는 것이다. 또, 강제 귀국을 했더라도 얼마 안 있어 고수익을 바라보고 캄보디아 재입국을 하는 사람들도 다수 존재한다.
지난 13일 재캄보디아 한인회의 성명서 내용을 봐도 이를 확인할 수 있는 단서가 나온다. 한인회는 성명서를 통해 첫 번째로 강조한 것이 ‘온라인 범죄에 대한 범죄자와 핵심 열쇠의 명확한 규정’을 통해 ‘우리는 캄보디아에서 구금되거나 온라인 사기 조직에 연루된 한국인들을 단순한 피해자로 볼 것이 아니라 불법 행위에 자의든 타의든 가담한 배후로...’본다는 것이다.
한인회는 이어서 국내 언론들에 대해 ‘사실 기반의 보도’도 요청하면서 박항서 감독 납치 오인 보도 같은 자극적 소재는 오해를 불러일으킨다고 지적했다.
물론, 여행을 하는 사람들이 낯선 곳에서 느끼는 불안감이나 두려움은 누구나 느낄 수 있는 공통점이다. 그렇다고 순수하게 여행을 하는 사람들에게까지 오인된 사실로 인해 피해를 줄 수 있는 것은 경계해야 하지 않을까?
오히려 지금 대한민국이 가장 신경 써야 할 지점은 기성세대가 사회에서 상실감을 느낀 MZ세대들에게 미래의 희망을 줄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 고민을 시작해야 하는 것이 아닐까 생각하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