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광주 > 웹진 『플광24』 > [김경수의 광주 최초를 찾아라] 광주최초 대학음악 가요제

웹진 『플광24』


[김경수의 광주 최초를 찾아라] 광주최초 대학음악 가요제

김경수| |댓글 2 | 조회수 501

< 조대앨범(1회전국대학음악경연대회)신문광고 > 


열매 계절, 고장마다 축제가 이어지고 있다. 대개 노래와 춤을 프로그램에 담는다. 1970년대 우골탑 대학 캠퍼스에도 음악무대가 등장한다. 지상보도에서 제1회 전국대학 문화예술축전을 찾는다.


1970년 9월 서울에서 86개 대학 1만여 명이 참여 7개 부분으로 나눠 진행됐다. 22~24일 세종로 81번지 서울시민회관에서 음악·민족예술경연대회도 열린다. 26일 종합시상식 부분별 우수상에 △문예/김동진(조선대)과 함께 △음악/중창·중주(전남대)가 들어온다.


광주최초 음악·민족예술 경연대회 참여 기록은 1971년 2월 졸업, 조대앨범에 깃들어 있다. ‘70년도 전국대학 민속예술경연대회 우수상’이란 캡션을 단 사진에 견주어 1970년 10월 15일 발행 조대신문 172호 1면에는 ‘우수영 원무’로 특별상을 받았다고 적혀있다.


7080음악·가요제 막이 광주 대학가에서도 꿈틀거렸던 정황 제보를 받는다. 조대 화공과 졸업 싱어 김경중은 말한다. 1972년 10월 6인조 대학그룹사운드 ‘Jall’이 구성됐단다. 맴버 중 건축과 홍병희(F기타)연습장, 광주문화방송 ‘젊음은 가득히(PD윤광철)’ 생방송 출연을 회고했다.


1971년 충장로4가에 대학생을 상대로 한 음악가게 ‘뮤직박스 캠퍼스’가 문을 연다. 그때 광고에 순금반지를 걸고, 매주 토요일 공개방송으로 ‘Topsinger’를 뽑는단다. 이듬해 5월, 전남도청 옆 대도호텔 지하실에 ‘San Remo’ 주간음악감상실도 개업한다. 당시 소수옥은 밤11시10분~1시 ‘별이 빛나는 밤에’를 생방송으로 진행했다.


< 1977년1회MBC대학가요제,1975·1978조대앨범 >


암울정국에도 본격적인 범(汎)대학 노래제전이 전개된다. 1977년 제1회 문화방송 대학가요제(사회/이수만·명현숙)에 광주·전남에서 전남대 미술교육과 박문옥(4년)·최준호(2년)·박태홍(1년) 트리오가 기타를 메고 나간다. 김수남 작사, 박문옥 작곡 ‘저녁 무렵’으로 동상을 받는다.


7번으로 출전, 맨 먼저 호명된 광주대학생 수상곡은 이듬해 초 발매된 대학가요제 음반 A면 두 번째로 ‘빰빰빰~노을이 스러지는 저녁무렵은~’으로 시작된다. 같은해 제1회 전일방송 대학가요제가 열리고, 김만준의 ‘모모’가 대상작이 된다.


문화방송텔레비전 ‘금주의 인기가요’에서 ‘모모는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로 끝난 박철홍 작곡 모모는 5주 연속 1위를 차지한다. 제2회 MBC대학가요제에서도 전·조대 혼성트리오(김정식·김용숙·이해종) ‘약속’이 은상을 차지한다.


1980년대 ‘님을 위한 행진곡’을 작곡한 김종률은 1979년 제2회 전일방송대학가요제에서 황순원 ‘소나기’ 발췌가사곡으로 대상, ‘영랑과 강진’으로 제3회 MBC대학가요제에서 정권수·박미희와 함께 은상 수상자가 된다.


1995년판 광주문화방송30년사에 기록된 연도별 본선진출과 입상현황을 본다. 1980년 푸닥거리(이용호·양시춘·김철진), 1981년 소중한 친구(빗새들:정경환·오명환·김영식), 1982년 동상 오! 나의 바람(김혁·배은경), 1983년 술래잡기(썬데이:김정훈·김옥준·김동원·윤영길·신동선·김상식), 1984년 동상 마지막 잎새(최우남·기효산), 1985년 사랑의 다리(왕미자), 1986년 동상 세상에 그런 일이 있을 수 있나요(정영란), 1987년 은상 밤의 기도(선율:김도미·공경용·박병규), 1988년 아름다운 나의 사랑(하나둘셋:구애란·이정태·노수미), 1988년 석양(양은주), 1990년 내가 어릴 때(요즘애들:정진홍·권도현).


2021년 주광 집필, 광주노래이야기 대학가요제 수상곡에 1979·80년 제2·3회 VOC은상·대상 울보야(드로운스:이용하·강정수)·빙빙빙(하성관), 제2회 TBC젊은이의 가요제 그룹사운드 부분 입상작 철없던 시절(카라반2기:전준종·김규한·양주호·안영진·장영희), 1981년 제5회MBC대상 광주출신(한양대) 정오차의 바윗돌이 소개돼 있다. 



2 댓글
김현숙 10.13 13:25  
가을날 충장로. 금남로를 걸으며 듣던 노래 모모가 생각나네요. 광주에서 나온 노래가 전국을 휩쓸었던 시절들이 그대로 기록되어 있네요.
주광 10.14 21:46  
광주 젊은이들이 노래한 소중한 곡들과 발자취 자료 고맙습니다. 수고 많으셨습니다.


카카오톡 채널 채팅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