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광주 > 웹진 『플광24』 > 아! 오월, 다시 만난 오월!

웹진 『플광24』


아! 오월, 다시 만난 오월!

오주섭| |댓글 0 | 조회수 345

4년 전인 5월 12일, 저녁 뉴스에서 5.18 민주화운동진상규명조사위원회 위원장의 인터뷰를 보다 순간 나는 그날이 떠올라 몸이 얼어붙고 말았다. “광주교도소에 있는 가장 높은 건물에  M60 기관총을 설치해서 고속도로 또는 국도상으로 지나가는 모든 차량에 총격을 가하고, 사람들을 사살했습니다. M60 기관총은 5월 22일 이후 광주교도소의 감시탑과 건물 옥상 등 6곳에 설치됐습니다.” 


나는 1980년 5월. 전남대 사범대 부설고등학교 1학년생이었고, 형, 누나와 함께 자취하고 있었다. 학교가 전남대 정문 바로 옆에 있어 입학한 날부터 매일 최루가스 냄새를 맡으면서 전남대 학생들이 데모하는 광경을 목격했다. 내가 사는 곳은 광주역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 있었다. 


< 금남로를 가득 메운 시민군들과 차량들  사진: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생산자:경향신문사 >


5월 17일, 자정을 기해 비상계엄령이 전국에 확대되었고, 월요일인 5월 19일부터 중간고사가 예정되어 있었다. 담임선생님께서 “고등학생인 너희들은 다른 데 신경 쓰지 말고 공부에 열중하라”고 틈날 때마다 강조했던 터라 비상계엄이 선포되었음에도 19일 아침 예정대로 시내버스를 타고 등교를 했다. 전남대 사거리 승강장에 도착하여 시내버스에서 내리자마자 총을 둘러멘 공수부대원이 곤봉으로 나를 가리키며 어디 가느냐고 물었다. 학교에 시험을 보러 간다고 했더니 학교는 폐쇄되었으니 빨리 집으로 돌아가라고 윽박질렀다. 공수부대원을 피해 학교로 가기 위해 전남대 정문 앞을 가보니 이미 공수부대원들이 정문 앞을 가로막고 있었고, 대학생들이 그들을 향해 구호를 외치고 있었다. “전두환이 물러가라, 계엄령을 해제하라, 김대중을 석방하라” 


당시 살던 골목엔 여섯 집이 있었는데 대학생 형, 누나들과 어른들은 나와 뒷집에 사는 고등학생 형한테 골목에 사는 중학생, 초등학생 동생들을 돌보게 하고, 매일 도청 앞 금남로로 시위하러 나갔다. 어른들은 총알이 솜이불을 뚫지 못한다며 방문마다 두꺼운 솜이불을 커튼처럼 치라고 했다. 


어느 날 밤, 광주역 방향에서 총소리가 들려 창문 틈으로 조심스럽게 밖을 내다보니 무등산 쪽으로 빨간 도깨비불 같은 것이 연속해서 날아가는 게 보였다. 그 빨간불이 M60 기관총 10발당 한발씩 있는 예광탄이라는 것을 군대에 가서 알았다.


5.18 진상규명위원회가 조사한 내용을 보면 제3공수여단이 5월 20일 오후 10시 이후 광주역에서도 M60 기관총으로 시민들을 사살했다고 한다. 당시 내가 들었던 총소리가 바로 5월 20일에 제3공수여단이 시민들을 향해 발포한 총소리였다니... 그들은 위협사격뿐만 아니라 실제로 그날 광주 시민들을 향해 M60 기관총을 쐈던 것이다.


5월 22일 점심 무렵 곡성에 계시는 어머니께서 광주 소식을 어떻게 알았는지 자취방을 찾아오셨다. 어머니께서 “군인들이 광주 사람들 다 죽인다고 하더라. 얼른 시골로 내려가자”라고 했다. 그러나 형과 누나는 도청 앞 시위 현장을 다녀와서인지 끝까지 싸워야 한다며 시골로 갈 수 없다고 강하게 버텼다. 어쩔 수 없이 나만 고향으로 가기로 합의를 봤다. 


 < 광주를 출입통제하고 있는 경찰들  사진: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생산자:경향신문사 >


계엄군이 광주 외곽을 포위하고 봉쇄 작전을 펼치고 있는 상황이라 버스는 끊긴 지 오래였다. 걸어서 고향인 곡성으로 가기 위해서는 반드시 광주교도소 근처인 담양 가는 국도와 순천 방향 호남고속도로를 지나야 했다. 어머니께서 고속도로 톨게이트 까지 걸어가면 담양에서 온 택시들이 있으니 호남고속도로로 가자고 하셨다. 광주에 오실 때도 택시를 타고 호남고속도로 톨게이트에서 내려 걸어왔다고 했다.


어머니와 함께 광주교도소 옆 호남고속도로에 접어들자 많은 사람들이 광주를 빠져나가기 위해 걷고 있었다. 마치 영화나 TV 뉴스에서 봤던 한국전쟁 때 피난민 행렬을 연상케 했다. 갑자기 사람들이 웅성웅성 거리며 뛰기 시작했다. 깜짝 놀라 덩달아 뛰어가며 사람들이 가리키는 곳을 보니 군인들이 총으로 우리를 겨누고 있었다. 가는 방향 오른편에 광주교도소 담이 있었는데 담 앞에 있는 참호 속에서 군인들이 우리를 향해 총을 겨누고 있었다. 행여나 군인들이 총을 쏠까 봐 어머니 손을 잡고 죽을힘을 다해 달려 그곳을 벗어났다. 다행히 군인들은 총을 겨누기만 할 뿐 쏘지는 않았다. 지금도 총을 겨누고 있던 그 군인들의 모습이 생생하게 떠오른다. 518 진상규명위원회 발표처럼 만약 하루 늦은 23일 나와 어머니가 그곳을 지나갔더라면 어떻게 되었을지 상상만 해도 끔찍하다.


매년 5월이 오면 광주 사람들은 1980년 그날에 기억이 멈추곤 한다. 가슴이 먹먹하고 뭔지 모를 슬픔과 분노가 치밀어 오른다. 아마도 그것은 아직도 진상규명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전두환은 사과 한마디 없이 세상을 떠났고, 책임 있는 자들이 반성과 사과는커녕 책임을 부인하고 오히려 적반하장식으로 북한군개입설 등을 주장하며 518을 왜곡하고 폄훼하고 있기 때문은 아닐까?   


4년 전에 안성기 배우 주연의 ‘아들의 이름으로’라는 영화가 개봉했다. 518 때 가해자였던 공수부대원이 자신의 잘못을 반성하고 아들과의 약속을 지키기 위해 복수를 하는 것이 주된 내용이다. 영화에서 주인공은 식당 화장실에서 “반성하지 않는 삶은 살 가치가 없다”라는 문구를 보고 복수에 대한 결심을 굳히게 된다. 이정국 감독은 영화로나마 518 가해자 중의 한 명인 공수부대원이 반성과 사과를 하고, 복수를 통해 광주 시민들의 마음에 조금이나마 위로가 되었으면 한다고 밝혔다. 2021년 3월, 당시 계엄군이었던 전직 공수부대원이 자신이 쏜 총에 맞아 숨진 희생자의 유족을 만나 사과한 일이 있었다. 영화 같은 일이 현실에서도 일어난 것이다. 


12.3 비상계엄을 민주시민들이 45년 전 오월 정신으로 막았다. 그리고 윤석열을 파면시켰다. 올해 제45주년 5.18 민중항쟁 기념행사의 표어가 아! 오월, 다시 만난 오월인 이유가 여기에 있다. 45년 동안 만난 오월이지만 올해 오월은 그래서 더 특별하다.


0 댓글


카카오톡 채널 채팅문의